K-패스에 대해 알아보기(대중교통 비용 환급)

제목을 입력해주세요 001 1 2

안녕하세요 꿀꿀남편 입니다.

저 같은 직장인에게 대중교통은 필수이기도 하지만 교통비가 생각보다 많이 지출되고 있죠

한달에 22일 근무를 한다면 대략 6~7만원 정도 나오는데 저는 조금 아깝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제가 이번에 가져온 글은 ” K패스”에 대한 설명과 꿀꿀남편이 알려주는 꿀팁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벌써부터 돈 적게 나갈 생각하니까 심장이 빠운스 빠운스 하는 거 같습니다.

 

“K-패스”는 무엇일까?

절약할려고 이전에 만들었던, 신청했던 알뜰교통카드가 있었을 껍니다. 하지만 여기서 조금 더 업그레이드 된 정부의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이라고 알아두시면 됩니다.

“K패스”는 시내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난 후 일부를 환급받는 개념입니다.약간 제 생각엔 “K패스”는 역대급 혜택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신용카드의 대중교통 할인이 있긴 하지만 연회비를 내고 있죠?

아깝습니다.. 다른 혜택을 받으시고 계시다면 모르겠지만 아직 사회초년생인 분들이나 출퇴근을 위해 매일 교통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무조건 무적권 “K패스” 를 사용하시라 권장드리고 싶습니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시 일부 환급!!!

15회 많다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아닙니다.

갔으면? 다시 와야하잖아요?(조세호 인줄)

월 15회이하로 사용하시는 분들은 어쩔 수… 없죠…ㅎ

!!!여기서 추가적으로!!!

시내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 이용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 알아보기

K-패스 환급금액

일반(청년, 저소득층 제외) – 할인율 20% ← 환급금액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청년(만19세~34세까지) – 할인율 30%

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대상자, 차상위계층) 53%

를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20%라고 생각해도 한 달에 교통비로 10만원 쓴다고 가정하면 2만원을 아낄 수 있게 되는거죠!!

 

너무 좋지 않나요???

K-패스와 알뜰교통카드 비교

  1. 알뜰 교통카드와 달리 출발, 도착 버튼 눌리지 않아도 됨.
  2. 교통비용 만큼 환급해주는 시스템으로 이동거리와 상관 없음.
  3. 일반카드와 같이 그냥 쓰면 되고 알뜰교통카드에서 전환도 됨.

알뜰교통카드에서 K-패스로 전환방법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 분들은 전환신청만 해두시면 별도로 다른 가입이나 인증 없이 바로 전환이 됩니다.

다만, 신청은 꼭 하셔야겠죠??

알뜰교통카드 어플에서 “전체메뉴”에 들어가서 “K패스 전환”이라는 탭을 눌리셔서 전환 동의 및 본인인증 까지 마치시면 완료 됩니다!

 

K-패스 신규가입자 가입 방법

기존 알뜰교통카드 회원이 아닌 경우!

2024년 5월 1일 부터 “K-패스 공식 누리집”,”K패스 앱”에서 카드 발급 및 신청 해주시면 됩니다!

 

K-패스 카드도 카드사별로 혜택이 다르니까 꼭꼭 본인에게 필요한 카드사로 선택하셔서 발급받으셨으면 좋겠네요^^

 

오늘도 이렇게 새로운 꿀팁을 한번 알아봤습니다.

참 유용한 정보이지 않나요~??

SBS 라디오 뉴스를 듣다가 “K-패스”라는 걸 알게되었는데 “꿀꿀남편”구독자 님들,

꿀꿀남편 홈페이지를 찾아주시는 분들께도 알려드리고 싶더라구요😘

앞으로도 유용한 정보와 지식을 전달하는 “꿀꿀남편”이 되도록 해보겠습니다.

 

설마… 아직 “꿀꿀남편” 구독 안하신 분들은 없으실 것 같아서 아래 링크를 들어가시면 “꿀꿀남편”의 일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상 꿀꿀남편이었습니다.

버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